🫱🏻‍🫲🏼

[손에 손잡고] I See You

프로젝트 보고

프로젝트명: 똑톡(TokTalk)

시연 영상
1.
기 획 배 경 사람이 어려운 당신의 마음을 두드리는 “ (공개 프로필 기반) 실시간 대화 가이드” 회사 내 신규 입사자가 발생하면, 조직 안에서는 자연스럽게 탐색전이 시작됩니다. 기존 구성원들은 ‘새로운 사람은 어떤 성향일까? 우리와 잘 맞을까? 어디 한번 볼까?’ 하고 조심스레 살펴봅니다. 한편, 신규 입사자는 ‘나 빼고는 이미 다 친할 텐데… 어떻게 다가가지? 🫣 내가 어떻게 해야 빠르게 이 조직에 적응할 수 있을까?’하는 고민 속에 첫걸음을 내딛습니다. 물론, 시간이 해결해주기도 합니다. 함께 일하고, 밥을 먹고, 업무 외적인 대화를 나누다 보면 서로의 성향, 업무 스타일,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, 관심사를 자연스럽게 알게 됩니다.하지만 이 ‘서로 알아가기’까지의 과정은 쉽지 않습니다. 처음에는 어색하고, 경계하며,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고, 심지어는 원치 않은 오해와 거리감으로 인해 이별을 맞이하기도 합니다. 이러한 불상사를 방지하고,조금 더 빠르게, 자연스럽게 서로를 이해하고 즐겁고 편안한 회사 생활을 할 수 있도록개인별 가이드를 제공하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. 신규 입사자가 느끼는 불안과 기존 구성원의 경계를 조금이나마 덜어내고, 모두가 따뜻하게 맞이하고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는 작은 시작이 될 것입니다.
강점 - 개인이 직접 작성/공유하는 <프로필>과 <나 사용법> - 팀장-팀원, 임원-직원 간의 안전한 <대화 스크립트>와 <협업가이드> - <누구나 사용가능> , 구성원간의 원만하고 안전한 관계 형성을 위한 <구체적인 실천방안>
활용 및 적용 : 커피챗, 1 on 1, 인터뷰, 미팅, 부서 간 협업, 인신입/경력 입사자의 온보딩소프트랜딩 등 구성원간의 원만하고 안전한 관계형성 매우 요긴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
1.
기 획 상 세 (4분의 비전공자와 1분의 DL 엔지니어(용병) / + 숨은 수호천사 = 6) (초기) 설문설계 > 설문조사 (응답 시뮬레이션) > 응답결과 정리 > 모델구현 (최종) ← 설문설계-설문조사-응답결과정리(dummy생성) →ㅣ모델구현   이미 완료된 항목으로 가정  구현까지의 현실성* 고려 과업 범위/ 항목을 지속적으로 긴밀하게 협의 하며 간소화 *실제적인 프로젝트 환경 (제한) : api 기반/ 할당된 토큰 / 주어진 프로젝트 수행 기간 고려 가. 총 15개의 질문 기반 설문 조사 실시: Rawdata 수집 나. 성격심리학, 조직심리학을 반영/진단한 개인별 성향분석상황별 접근방법 추론 다. 개인별 맞춤형 리포트와 가이드라인 제공 라. 세부 대화 스크립트와 함께 5가지 관련 질문 추천 마. 리포트 및 웹 기반으로 추가 질문에 대한 실시간 답변 (챗봇서비스)
1.
활 용 기 술 - OpenAI GPT-4 API (Function call+System Prompt 설계) - Langchain (LLM 파이프라인 구축용) - Streamlit(간단한 웹 인터페이스 구축용)
2.
기 능 구 현
a.
스피디한 프로토타입 생성
i.
고도화된 맞춤형 ChatGPT를 이용, 100명의 다양하고 입체적인 가상표본 데이터 생성 - 5개 부서, 6개 직급, 20~70대 남녀 구성, 부서별 빌런(트러블메이커) 2% - <메타프롬프팅>을 통한 적합성, 실효성, 신뢰성, 타당성 검증 및 개선 루프
i.
단계별 프로세스 수립과 수행, 실시간 결과물 피드백과 파인튜닝 - 단계별 결과물에 대한 브레인 스토밍을 통한 검증과 개선 - 악마의 대변인(브레이커) 운영, 모두 발언 - 표본수집~ 결과물 프로토타입 까지 시뮬레이션을 빠르게 진행 - 방향성과 세부내용에 대한 충분한 전원합의 후, 코딩
b.
구현 with Langchain
[Base 모델 구현]
Markdown
복사
[스타일 업데이트]
[기능 고도화: 사용성 증대, 챗봇]
최종 결과물 - 개인별 워크스타일 리포트
향후 활용 - 구성원간 매칭률 비교분석 가능
1.
기 대 효 과 가. 많은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지 않고, 내가 궁금한 구성원의 업무/소통 스타일, 일할 때 주의해야 할 점, 최적의 결과를 만드는 협업 방법을 손쉽게 파악 나. 맞닥뜨릴 여러 가지 상황에 맞는 가이드 제공으로 바로 활용할 수 있음
2.
느낀 점 및 배운 점 - 정훈: 현업이슈에 대한 AI의 접근과 활용에 대한 실무자들의 치밀한 고민과 협업을 통해, 관점을 확장하고, 팀시너지를 느낄수 있었던 흥미로운 기회였습니다. 고맙습니다. - 민영: ‘작은 성공 경험’을 통해, 파이썬 활용에 대한 용기를 얻게 되었습니다. 특히, 엔지니어 분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운 것 같아. 특히 알찬 경험이었습니다.  (감사) - 보람: 머릿속에 있던 생각들을 협업을 통해 함께 구체화하고 실제적으로 구동되도록 구현하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. - 준석: 실제 산업 현장에서 풀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 수 있어서 좋았고, LLM을 이용해 직접 구현한 기술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음을 보인 것 같아 보람찼던 시간이었습니다. - 기두: A to Z까지 전체적인 프로세스의 골격을 세우고 단계별로 함께하는 구성원들이 동일한 생각(결과물에 대한 이미지)가 같은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홋